인터넷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려면 인터넷 공간에 자신의 홈페이지를 올려두어야만 합니다. 자신의 컴퓨터에만 있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그 홈페이지를 인터넷 브라우저에 올려놓고 홈페이지를 확인하려면 그 홈페이지와 연결될수 있는 주소가 있어야 합니다.
이 홈페이지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홈페이지를 올리는 웹상의 공간인 웹서버라는 곳에 올리게 됩니다.
그런데, 어떻게 주소를 치면 그 주소와 연결되는 홈페이지가 연결될까요?
웹호스팅은 서버컴퓨터의 일정 공간을 고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이며, 고객은 값비싼 장비와 인력을 들이지 않고도
저렴한 가격에 독자적인 서버컴퓨터를 가진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를 받으면 도메인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할 수 있고, 빠른 속도에 다양한 웹서비스를 이용하면서도,
서버컴퓨터 운영비는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구분 | 리눅스호스팅 | 윈도우호스팅 |
---|---|---|
웹서버 | Apache | IIS |
DB | My SQL | Ms SQL |
언어 | PHP | ASP |
트래픽은 전송량이라고 하며 어떤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말한다. 트래픽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서버에 과부하가 걸려 전체적인 시스템 기능에 장애를 일으킨다.
- 트래픽 용량 계산 방법
예) 텍스트와 이미지로 이루어진 1MB용량의 웹페이지를 하루에 1000명이 접속하여 보았다면?
1MB x 1000(명) = 1000MB 의 트래픽이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