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 변경(DNS설정)
1. 로그인 후 도메인 관리를 클릭합니다.
2. 네임서버 변경을 클릭합니다.
3. 네임서버 변경을 요청하는 도메인의 [네임서버 설정] -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4. 부가서비스용 / 호스팅용 / 직접입력 선택합니다.
5. 변경을 원하는 네임서버 작성 후 [IP 변환]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네임서버 변경을 클릭합니다
7. 변경이 완료되었습니다.
레코드 설정
* 웹티즌 부가서비스용 네임서버 또는 타사 네임서버를 이용할 경우
- 네임서버 변경이 어려운 경우 네임서버로 설정된 업체에서 직접 호스팅 서버와 연결할 수 있도록 레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1. 호스팅 서버 IP를 확인하기 위해 웹티즌 로그인 후 [호스팅 관리]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이용 중인 호스팅을 확인하여 해당 호스팅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호스팅 기본정보 페이지에서 서버 IP를 확인합니다.
- 확인한 아이피를 통해 네임서버로 설정된 업체에서 레코드를 변경합니다.
- 변경 방법은 네임서버로 설정된 업체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ex) 도메인이 webtizen.kr 이라면, webtizen.kr 에 대한 A 레코드와 www.webtizen.kr 에 대한 A 레코드를 변경하고
레코드 값은 IP를 입력하면 됩니다.
4. 서버 IP를 확인한 후 레코드 설정 화면으로 이동 합니다.
5. 도메인 레코드 관리를 선택합니다.
6. 해당 도메인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7. 해당하는 레코드 설정을 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 레코드 변경 시 1~3시간 가량 소요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기다려보시고
홈페이지가 웹페이지 상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FTP 사용법
1. https://filezilla-project.org/ 에 접속합니다.
2. "download Filezilla Client" 버튼을 클릭하여 페이지를 이동합니다.
3. 이동되는 페이지에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window 기준)
4. 설치가 완료된 FileZilla를 실행합니다.
5. [파일]-[사이트 관리자] 항목을 클릭합니다.
5. 호스트(H) 란에 no( ).webtizen.kr 주소를 입력합니다.
6. 포트는 호스팅 관리 페이지의 제품 상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암호화(E)는 Only use plain FTP(insecure)로 변경합니다.
8. 로그온 유형(L)은 일반으로 변경합니다.
9. 사용자(U)에는 FTP 아이디, 비밀번호(W)에는 FTP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연결합니다.
10. 아래에 있는 연결 버튼을 클릭해서 ftp에 접속합니다.
웹메일 사용법
* 관리자 패널을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방법
1. [호스팅 관리] - [웹 메일 관리자 접속]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move 선택창을 클릭하여 [웹 메일 액세스]로 이동합니다.
3. Roundcube 로고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 바로 로그인하는 방법
1. http://mail1.dothost.co.kr:2095/ 로 이동합니다.
2. 메일 계정 관리에서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이메일 주소 형식 : [email protected])
3. Roundcube 로고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아웃룩 사용법
* 아웃룩 2010의 경우
[파일]-[계정설정]-[계정설정] 항목을 클릭합니다.
* 아웃룩 2007의 경우
[도구]-[계정설정] 항목을 클릭합니다.
1. 새로 만들기(N)를 클릭합니다.
2. "전자 메일 계정(E)"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3. "수동으로 서버 설정 또는 추가 서버 유형 구성(M)"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4. "인터넷 전자 메일(I)"을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5. 아래와 같이 아이디 및 기본정보 입력 (보내고 받는 메일서버는 mail.도메인으로 적어주세요.)
6. 모두 입력 후 좌측 하단의 기타 설정(M)을 클릭합니다.
7. "보내는 메일 서버" 클릭 후 "받는 메일서버(SMTP) 인증 필요"에 체크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8. "받는 메일서버(SMTP) 인증 필요"에 체크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9. 아래와 같은 "계정 설정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10. 아래와 같이 "계정 설정 완료" 메시지가 뜨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hpMyAdmin접속
* phpMyAdmin은 DB를 웹으로 관리할 수 있는 패널입니다.
1. [호스팅관리] - [호스팅 관리패널 접속(cPanel)] 을 클릭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메뉴에 phpMyAdmin으로 접속합니다.
제로보드 설치법
1. FTP를 접속하여 다운 받으신 제로보드 파일을 public_html 파일에 넣고 사용 중인 호스팅에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로
접속합니다.

2. 한국어를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사용권에 대한 동의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사양을 확인한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5. Mysql 선택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Mysql이 있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6. Mysql 정보 입력을 위해 웹티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호스팅 관리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해둡니다.

7. 앞에서 확인한 DB정보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DB Port 3306은 따로 기재하지 않아도 됩니다.
(Table Prefix는 파일 앞에 붙을 이름으로 변경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8. 시간 설정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9. 마지막으로 관리자 계정정보를 생성하고 완료 버튼을 눌러줍니다.

10. 무사히 관리자 계정까지 생성이 되었다면 주소를 검색하여 접속 시 제로보드 홈페이지가 접속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법
1. FTP를 접속하여 다운 받으신 워드프레스 파일을 public_html 파일에 넣고 사용 중인 호스팅에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로
접속합니다.

2. 사용 중인 호스팅이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에 접속하여 한국어로 언어 선택을 하신 후 ‘Let’s go!’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워드프레스 설치 전 필요한 DB 정보 내용을 파악해 둡니다. 웹티즌 홈페이지 호스팅 관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앞에서 파악해둔 내용으로 내용들을 기입합니다.
(Table Prefix는 파일 앞에 붙을 이름으로 변경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5. 내용을 올바르게 기입했다면 해당 페이지로 넘어가지며 설치 실행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워드프레스를 접속하실 계정 정보와 사이트 제목 등을 입력하고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설치 완료 후 도메인을 접속하면 워드프레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관리자 페이지 접속은 도메인 주소 뒤에 /wp-admin을 기입하여 접속합니다.
그누보드 설치법
1. FTP를 접속하여 다운 받으신 그누보드 파일을 public_html 파일에 넣고 사용 중인 호스팅에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로
접속합니다.

2.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예, 동의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정보 기입 창이 나옵니다.
해당 내용을 기입하기 위해 웹티즌 호스팅 관리 페이지를 접속하여 DB 정보를 확인합니다.

3. 해당 위치에 DB 정보가 있으니 내용을 확인하여 기입합니다.

4. Host 에는 DB 정보를 확인하여 기입합니다.
User 에는 FTP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Password FTP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DB : 관리자 ID_db를 입력합니다. (호스팅 관리에서 확인 가능, 아래 이미지 참고)
모두 기입했다면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password 가 너무 짧으면 다음으로 넘어가지지 않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5. 내용을 올바르게 작성하였다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6. 설치 완료 후 접속하시면 그누보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